카테고리 없음

부동산시장에서 가장 상위의 포식자는 건설사다

김부현(김중순) 2023. 9. 12. 07:38

Q. 최근 미분양이 증가해 건설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대로 가다가는 국가경제에 심각한 위기가 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많은데,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앞서 언급했던 건설사발 미분양위기론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인데요. 한마디로 말도 안 되는 억지라고 봅니다. 그럼 왜 억지를 부릴까요? 늘 그래왔거든요. 그렇게 해서 미분양이 생길 때마다 국민에게 떠넘겼죠. 오랫동안 써먹어 왔던 공생체(건설사, 언론, 전문가)들의 못된 버릇이죠.

국민을 우습게 보고 심지어 정부도 얕잡아 본다는 반증입니다. 그러다 보니 건설사는 부동산시장을 좌지우지하는 공생체 중에 서도 가장 상위의 포식자가 된 거죠. 최근 또다시 건설사의 진두지휘 아래 공생체들이 일제히 나서서 미분양발 경제위기 운운하는 걸 보 면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만든 제품이 팔리지 않으면 머리를 싸매고 품질을 좋게 하거나 가격을 낮추는 게 순서고 경제 논리에도 맞습니다. 저질인 제품을 터 무니없는 가격으로 책정해 놓고 전문가, 언론 동원해서 국민에게 집 사라고 꼬드기다 안 되니까 이제는 정부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정치 논리로 접근하는 것이죠.

우리나라에 집 없는 사람이 40%나 되는데 왜 미분양이 생기는 걸까요? 비싸기 때문입니다. 왜 비쌀까요? 집이 부족해서죠. 그런데 도 정부까지 나서 집이 남아서 미분양이 생기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 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나라별 사정은 다르겠지만 OECD 기준(인구 천 명 당 주택 수)으로 보면, 우리나라는 주택이 턱없이 부족했고 지금도 그렇습니다.

그런데도 종종 미분양 났다고 난리를 쳤죠. 맘대로 지어놓 고 조금만 미분양 나면 경제가 폭망한다는 해괴한 주장을 펼쳐 왔고 늘 국민은 그들의 총알받이가 되어왔죠. 분양이 안 되는 것은 고금리 탓이 아닙니다. 대출이 어려운 탓도 아니고, 미국 금리 탓도 우크라이나 전쟁 탓도 아닙니다. 가격 탓입니 다. 품질 대비 비싸니까 수요자들이 외면하는 겁니다. 다른 이유는 대국민 홍보용에 불과합니다. 지난 2월 기준 미분양 아파트는 7만5천 가구입니다.

증가하고 있는 건 맞지만 미분양 때문 에 국가 경제가 거덜 난다는 식으로 침소봉대하는 건 지나가는 소가 웃을 일입니다. 경제 논리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면 미분양이 생기면 먼저 건설 사가 망해야 하는데 그때마다 언론, 전문가 동원하여 국민의 호주머 니를 털어갔죠. ‘영끌’하라고 부추긴 게 누구였는지 보세요. 우리나라 건설사의 영업력은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미분양이 생겨도 어떻게 든 팔아 버리잖아요. 국민 꼬드기다 안 되면 마지막에는 국가가 사게 할 정도니까요.

얼마 전, 대통령까지 나서서 미분양아파트를 공공기관(LH, HUG) 에서 매입해서 공공임대해 보라고 하자, LH는 단번에 서울 미분양아 파트 36채를 80억에 매입했죠. 농민들은 국회 앞에서 삭발까지 하면 인터뷰 19 서 남는 쌀을 정부에서 사 달라면서, 길거리에 드러눕고 쌀을 뿌려도 정부는 본 척도 하지 않습니다. 미분양아파트는 사주면서 쌀은 사주지 않는 겁니다. 식당을 운 영하는 자영업자도 예측을 잘 못해서 밥이나 반찬이 남으면 손해를 보지 정부한테 사가라고 하지는 않죠. 대통령도 앵무새처럼 자유시장경제 운운하지만, 자유시장경제 원리가 돌아가는 나라에서 어느 정도 미분양이 나는 건 당연한 것 아 닌가요?

짓는 족족 분양이 다 되는 게 더 이상하지 않나요? 완판이 되니까 가격도 안 내리고 품질도 닭장 수준이죠. 외국 건설사들의 국 내 주택 시장 진입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아직도 무슨 영업비밀 운운하며 분양원가 공개도 제대로 하지 않고 있잖아요. 작년 한 해 자영업자 35만 명이 피눈물 흘리며 문을 닫았습니다. 쫄딱 망했지만 누구도 정부 탓을 하지 않았습니다. 식당 망하는 건 괜찮고 건설사 망하면 나라가 폭망하나요? 돈을 쓸어 담을 땐 가만 있다가 미분양이 생기는 건 우매한 국민 탓이라 생각하는 것 이죠. 참 신기할 뿐입니다.

미분양 때문에 끙끙 앓고 있지만 정작 문 닫는 건설사는 별로 없 습니다. IMF 때 종합건설사 117곳, 전문건설사 248개가 망했지만, 그 때도 우리나라 경제는 폭망하지 않았습니다. 저만 그런가요? 미분양, 물가상승, 인건비 상승, 금리 인상 등으로 건설사 망하는 소리는 안 들리고, 분양가 왕창 올라가는 소리만 들리네요. -자료 : <꾼들의 재개발 재건축 투자급소 50>, 서문 인터뷰 내용 중에서,

꾼들의 재개발 재건축 투자급소 50 - 예스24 (yes24.com)

 

꾼들의 재개발 재건축 투자급소 50 - 예스24

어떤 좋은 입지도 현장의 노하우를 이기지 못한다!좋은 입지만 쫓는 초보자 수준을 벗어나야 투자 성과를 얻습니다. 이미 그 입지는 가격이 터무니없이 비싸져 있을 겁니다.100% 이상 수익을 올

www.yes24.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