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1구역 2

부산 연산7·광안7구역 사업성은?

재개발사업을 공공사업적 성격이라고 하지만 철저히 비즈니스 논리에 의해 사업의 진행 여부가 판가름난다. 아무리 좋은 입지도 사업성이 없다면 재개발이 진행될 수 있을까? 사업성은 입지도 삼켜버리는 최상위의 개념이다. 가칭 연산7과 광안7구역은 불장이 끝나갈 무렵부터 지분쪼개기의 대명사로 불리던 대표적인 곳이다. 토지등소유자수가 엄청 증가했고 지분쪼개기 못하는 놈이 바보 취급 당할 정도로 공공연하게 지분쪼개기가 성행했던 곳이다. 서로 지분쪼개기하여 서로 피해를 주는 것이다. 근본 원인은 2020년 9월 14일 부산시장이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멍청한 짓을 한 탓이다. 이전까지 부산의 권리산정기준일은 정비구역지정고시일이었는데 2020년 9월 14일 부산시장이 투기를 억제한다는 이유로 뜬금없이 사전타당성심의 제도를..

연산동의 대장 연산1구역, 재개발로 날개를 펼까?

요즘 같은 불장에서는 재개발 재건축에 대한 투자패턴이나 시점도 바뀌어야 할 듯하다. 리스크를 줄이면서 적정한 수익을 낼 수 있는 조합설립인가 이후나 사업시행인가 무렵에 투자하던 전통적인 패턴에서 벗어나야 하는 분위기다. 결론적으로 선선진입이 대세다. 그도 그럴 것이 진행단계에 따라 점진적으로 우상향하는 가격 상승 추이가 최근에는 재건축과 마찬가지로 구역지정 무렵인 초기에 왕창 오르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부산의 부동산 급등세는 해수동남의 재개발 재건축이 그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 그러다보니 이제는 구역지정 전에 선진입하거나 주거환경개선지구로 묶여 있던 지역들이 앞다투어 재개발로 사업방식을 변경하고 있다. 민락2지구와 연산1지구가 대표적이다. 민락2지구는 현재 주거환경개선사업 해제 동의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