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국가를 정복한 군주는 필요한 가해 행위들은 단번에 실행하고 은혜는 조금씩 천천히 베풀어야 한다. 왜냐하면 지속적으로 저지르는 가해행위는 백성들로 하여금 불안에 떨게 하고 반감과 분노를 일으킬 수 있지만, 은혜는 천천히 베풀어야 오랫동안 만끽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군주가 유념해야 할 것은 그것이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이러한 기조가 흔들려서는 안 된다. 어려움이 닥쳤다고 군주가 갑자기 거칠게 행동하면 그동안의 좋은 행위도 빛을 잃기 때문이다. 백성들은 그런 자선행위가 위선이라고 생각하고 그것에 대해 고마움을 느끼지 않게 된다. <군주론>8장
급여는 조금씩 자주 올려주고 해고는 한꺼번에 하라
한 마디로, “나쁜 일은 한 번에, 좋은 일은 천천히 나누어서 하라.”는 의미다. 여기서 급여라 함은 포상, 표창, 승진, 권한 확대, 호봉 상승 등과 같은 구성원들의 동기부여적인 제반 요소들을 통칭하는 것이다. 이런 것들은 천천히, 자주, 조금씩 행하는 것이 좋다. 반면 100명을 해고할 경우가 생겼다면, 10명씩 10번에 걸쳐 행하기보다 한 번에 100명을 모두 해고하는 것이 낫다.
우리가 읽었던 역사 속 위인들의 일대기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여서는 곤란하다. 위인들의 전기는 읽지 않아도 내용은 뻔하다. 고생고생해서 성공했으니 당신도 열심히 하라는 조언이다. 하지만 그들의 성공 뒤에는 때로 서슴지 않고 악행을 저질렀다는 점에 주목해 봐야 한다. 부정적인 면을 보라는 의미가 아니라 성공을 하기까지 어느 정도의 비도덕도 필요하다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다.
2000번의 실패 끝에 전구를 발명한 에디슨에게 한 기자가 물었다. 그는 “난 실패한 것이 아니라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2천 번이나 깨달았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러한 명언을 남겼다. “실패하지 않는 유일한 길은 아무것도 시도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당대 최고위 발명가로서, 실패의 아이콘에서 성공의 아이콘으로 변신한 에디슨이었지만 그가 경영했던 기업의 경영자로서의 평가는 냉혹하다. 돈과 일에 미친 악덕기업주였다는 사실이다. 그의 공장 종업원들은 밤늦도록 일하면서도 최저임금밖에 못 받았고, 공장에는 안전 및 위생시설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 또한 그의 자본력과 각종 특허권을 이용하여 경쟁 기업들의 사업을 불법적으로 방해하고 자신이 모든 것을 독점하려 한 부도덕한 기업인이기도 했다. 하지만 역사는 그를 악덕기업인이라 부르지 않고 위대한 발명가로 부른다. 성공하면 일부 부도덕한 과정은 덮어지는 것이 역사다.
물론 역사 속 군주들이 처음부터 잔인한 것은 아닐 것이다. 자리가 그렇게 만든 측면이 없지 않을 것이다. 그들도 처음에는 도덕을 내세워 신의를 지키고자 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유토피아와 같은 이상사회에 살고 있어 모든 인간이 정직하다면, 신의를 지킨다고 해서 손해 볼 일이 없다. 그러나 현실 속 인간들은 신의를 지키는 사람을 밟고 일어서는 사악한 존재이므로, 굳이 혼자 신의를 지킬 필요가 없다.
죄수의 딜레마가 보여주는 인간 군상의 모습
칫솔을 함께 쓰는 친구 간에도 결정적인 순간에는 서로를 믿지 않는다는 것은 흔한 일이다. 게임 이론에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라는 것이 있다. 프린스턴대학 터커(Albert Tucker) 교수가 고안한 것으로 두 명이 참가하는 비제로섬게임(non zero-sum game)의 일종이다. 이는 서로 협력할 경우 가장 이익이 되는데도 불구하고 개인적인 욕심으로 서로에게 가장 불리한 상황을 선택하는 불합리한 의사결정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두 친구가 강도짓을 하다 체포되었다.
용의자 A와 B는 서로 다른 취조실에 격리되어 심문을 받고 있다. 용의자들은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검사가 두 명의 용의자에게 각각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라고 할 때 두 명의 용의자는 어떤 결정을 내릴까?<선택1> 죄를 자백한 사람은 즉시 풀어주고 나머지 한 명은 10년을 복역 한다.<선택2> 두 사람 모두 죄를 자백하는 경우 둘 다 5년을 복역한다.<선택3> 두 사람 모두 죄를 부인할 경우 둘 다 6개월을 복역한다.답은 두 용의자 모두 죄를 자백하여 5년을 복역한다. 이상하다. 둘 다 죄를 부인하여 6개월 복역을 선택해야 마땅한데 말이다.결과적으로 A와 B는 자신에게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자백을 선택하여 둘 다 5년을 복역하게 되고, 이는 둘 모두가 자백하지 않고 죄를 부인하여 6개월을 복역하는 것보다 나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제3자의 입장에서 보면 어처구니없는 결과로 보인다. 죄수의 딜레마에서 용의자들은 상대방의 결과는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만을 최대화한다는 관점에서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은 불합리하고 이해하기 힘든 상황은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일어나고 있다. 어차피 배신을 당할 바에는 먼저 배신하라는 것이 마키아벨리의 조언이다.
아무튼 상황이 어떻든 그래도 나는 정직하게 살겠다고 한다면 박수를 보낼 일이다. 선택은 각자의 가치관에 따르면 그만이다. 원숭이 100마리가 있다. 꼬리가 없는 원숭이가 99마리이고, 꼬리가 달린 원숭이가 1마리 있다. 이 때 1마리는 99마리의 원숭이들에게 오히려 비정상적인 원숭이라고 손가락질 받는다. 정상이 비정상이 되기도 하고, 비정상이 정상이 되기도 하는 그런 현실에 우리는 살고 있다.
'독서경영 > 헐렁한 군주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문학큐레이터의 <헐렁한 군주론>-성공하려면 줄을 잘 서라 (0) | 2013.01.31 |
---|---|
인문학큐레이터의 <헐렁한 군주론>-충신과 아첨꾼은 종이 한 장 차이다 (0) | 2013.01.31 |
인문학큐레이터의 <헐렁한 군주론>-측근을 보면 군주를 알 수 있다 (0) | 2013.01.28 |
인문학큐레이터의 <헐렁한 군주론>-사랑받기보다는 두려움의 대상이 되어라 (0) | 2013.01.18 |
인문학큐레이터의 <헐렁한 군주룬>-인간이 어떻게 사는가와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0) | 201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