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점박이꽃무지 굼벵이/흰점박이꽃무지 사육방법

흰점박이꽃무지 사육방법(2)

김부현(김중순) 2014. 9. 6. 10:46

흰점박이꽃무지(굼벵이) 사육방법 

. 사육방법

(1) 알받기

암컷 성충은 교미 후 약 10 ~ 13일 정도 지난 후 산란을 하기 시작한다.

산란은 톱밥의 종류(여기서는 발효의 상태)와 환경에 따라 산란의 수가 다른데 보통 65 ~ 110개의 알을 낳는다.

 

알의 발육기간: 1주일에서 10일 전후로 부화한다.

알에서 부화된 1령은 약 10여일 후 탈피를 하여 2령으로 접어든다.

알을 많이 받기 위하여서는 산란배지(톱밥)의 상태가 좋아야 한다.

알을 받을 때는 사육용기 리빙박스(45 ~ 50 L)를 이용하여 충분한 양의 발효톱밥을 깔고 성충 100마리씩을 넣어 10일 간격으로 사육통

을 바꿔 받을 수도 있고 하우스용에서는 전매트에 산란을 유도하여 직접 받을 수도 있다. 사육환경에 맞게 산란을 유도 할 수 있다.

성충의 먹이: 과일이나 곤충 제리포 또는 딸기쨈을 주어도 무방하다. 이때 초파리의 발생이 많으므로 실내 리빙박스형으로 사육하는 농가

에서는 망을 설치하여 해충의 발생을 최소로 줄여 성충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산란매트는 다양하게 해도 되나 일반적으로는 참나무 발효톱밥을 사용하고 그것이 없을 때는 산에 있는 부엽토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리빙박스형으로 사육할 때는 10일에서 15일 후 수컷을 교체하여 산란을 유하면 더 많은 양의 알을 받을 수 있다.

산란을 받을 때는 같은 곳에서 자란 성충을 이용하지 말고 여러 지방에서 구한 성충을 교미시켜 유전자원을 풍부히 하는 것이 유충의 크기

나 성장에 도움이 되며 향후 발생되는 각종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도 있다. 산란매트의 수분상태는 사육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산란배지 수분: 보통 60 ~ 65%의 수분을 지닌 톱밥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데 이것을 싶게 알 수 있는 방법은 자기 손으로 톱밥을 꼭 지었을

그대로의 형태를 만들고 있으면 수분이 적당함을 의미한다.

 

- 통기: 리빙박스의 윗부분은(뚜껑) 중간 정도를 절개하여 충분한 공기 유통을 시켜야 한다. 수분의 증발이 많아 건조할 때는 스프레이로 약

3에 한 번씩 조심하여 뿌려주는 것이 좋다.

 

- 광조건: 산란장의 온도와 빛은 매우 중요하다 자연의 빛은 약간만 들어오는 것이 더 좋고 그렇지 못한 지하실이나 실내에는 LED등을 설치

하여 2일에 한 번씩 점등하여 주면 좋다.

 

- 산란 적온: 산란에 필요한 적당한 온도는 25 ~ 26이나 하우스에서 사육을 할 때는 여름철에 온도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대형 선풍기와

환풍시설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흰점박이꽃무지 충태별 크기

 

발육충태

유 충

성 충

크기

1~2 내외

5~30 내외

18~25 내외

 

) 발효톱밥 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함

 

 

흰점박이꽃무지의 발육기간

 

발육충태()

1

2

3

번데기

발육기간

10일 전후

20일 전후

35~40

30일 내외

 

) 25~26사육실 조건에서 사육함

   

(2) 유충사육

유충을 잘 키우기 위해서는 습도와 온도를 잘 맞춰주어야 성장에 지장이 없다. 일반적인 사육온도는 25내외가 좋으며 습도는 60 ~ 65%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온도의 영향으로 발육기간이 길어지거나 단축될 수 있으므로 연중사육을 위해서나 대량증식을 위해서는 안정된 온도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유충의 먹이: 유충발육을 위한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하여야만 충실한 유충의 생산이 가능 하다

- 유충은 참나무 발효톱밥으로 사육이 가능하다.

- 버섯을 따낸 배지를 숙성시켜 사육해도 무방하다

- 부엽토를 사용하여 사육해도 된다.

 

먹이제작법: 참나무 발효톱밥을 만드는 과정

- 표고버섯을 재배한 참나무 폐목 톱밥에 흑설탕이나 당밀, 그리고 미강을 비율에 맞춰 혼합하고 잘 섞어준다. EM을 잘 배합한다.

- 물을 첨가하여 함수율을 65%내외로 조절한 후, 시중에 판매되는 발효미생물인 EM(effective microorganism)을 뿌려주면서 다시 잘 혼합한다.

- 비닐을 덮어 15일 정도 숙성시킨다.

- 15일 경과 후 뒤집고 혼합한 후 다시 비닐을 덮어 약 40여일 이상 숙성을 시킨 후 사용한다.

- 사육농가마다 배지의 주성분인 톱밥의 종류 및 성상이 다를 수 있고 숙성 및 배지 제작 방법, 혼합하는 비율도 조금씩 다를 수 있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사육용 배지 함량 및 제작 방법

 

재료

참나무 톱밥

흑설탕 또는

당밀

미강

미생물(EM)

함량

30 kg

0.5 kg

1 ~ 2 kg

100 ~ 200

제작법

1. 위의 재료를 잘 혼합한다.

2. 배지의 수분함량은 60% 내외로 조절한다.

3. 마대자루에 담아 쌓은 후 비닐로 덮는다.

4. 15일 정도 숙성시킨다(배지 온도가 60까지도 올라간다).

5. 15일 후 마대자루의 내용물을 뒤집어 잘 혼합한다.

6. 45일 정도 지난 후 사용할 수 있다.

 

) 실내 배양실 또는 실외 조건에서 비닐을 덮어 배양함.

충분히 발효되지 않으면 가스로 흰점박이꽃무지가 폐사할 수 있으므로 주의

사육농가에 따라 혼합비 및 제작법이 다를 수 있음.

 

(3) 번데기 관리

흰점박이꽃무지 종령은 전용(前蛹)과정을 거친 후에 배지로 먹고 자란 주위의 재료인 톱밥 등을 이용하여 타원형의 단단한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수분의 공급: 번데기가 된 것을 그대로 두고 배지의 윗부분에 경미하게 수분을 2 ~ 3일에 한 번씩 배지 조건에 따라 추가 투입하면 약 한달 후

성충으로 우화하는 것을 관찰 할 수가 있다.

주의사항: 번데기 방을 만들기 위한 단계에서 그 속을 보기위해 톱밥을 뒤적이면 만들고 있는 고치 집이 파괴 되므로 종령부터는 세심한 관리

가 있어야 하며 수분이 너무 많으면 번데기 방이 썩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 이미 만들어 둔 고치방에 병이 들어 성충의 우화가 되지 않을 경우가 간혹 발생하는데 이것은 사육통의 소독이나 발효 톱밥과 수분에서 기인한

것이기 때문에 매우 조심할 필요가 있다.

- 번데기 방은 매우 연약하여서 만든 직후의 번데기 방은 만지지 말아야 하며 조용한 곳에 두고 관찰을 하는 것이 좋다.

- 과도한 수분의 투입은 오히려 과습으로 질병감염 등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사육에 미숙한 초보자는 특히 주의하여

야 한다.

 

(4) 성충 사육

 

우화된 성충은 본능으로 암컷과 짝짓기를 한다. 교미 후 암컷은 발효톱밥 속으로 들어가 산란을 한다.

성충의 먹이: 자연 상태에서는 굴참나무나 상수리나무의 수액이나 보리수나무의 화분 등을 먹고 약 2 ~ 3개월을 생활하다 사망하나 사육하는

현장에서는 먹이급여를 충분히 할 때는 이것 보다 더 오래 생존할 수 있다.

성충의 대체먹이: 바나나, 수박, 참외, , 사과 등 과일을 좋아하며 인공배지를 만들거나 딸기쨈 등을 희석하여 주어도 무방하다.

- 인공먹이 제작법: 한천(agar)이나 젤라틴을 끓인 후 여러 가지 영양물질(분유, 계란난황, 복합비타민, 요구르트, 과일, 소르빈산 등)을 넣고 믹

서로 잘 섞은 후 식히면 성충이 잘 먹는 먹이를 만들 수 있다.

출현 시기: 자연 상태에서 성충의 발현 시기는 4월 말에서 9월까지 활동을 주로 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5) 저장 관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저장하는 방법은 동결 건조하는 방법과 열 건조 방식이 있다. 이 모두 약 이틀간 먹이를 주지 말고 굶겨 체내에 있는

배설물을 모두 배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냄새를 덜 나게 만드는 방법이다.

- 열 건조 방법: 유충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100이상 끓는 물에 10초 정도 담군 후 들어내어 고기 말리는 망에 넣어 이틀 정도 말리면 된다.

- 동결건조방법: 동결건조기에 넣어 말리는 방식이다.

유충을 좀 더 오래 보관하기 위하여서는 10되는 저온저장고에 보관하면 약 4 ~ 5개월 더 보관할 수 가 있다.

 

(6) 먹이 및 환경기준

 

() 사육조건

온도: 최적의 온도조건은 25 ~ 29내외를 가장 선호하며 직사광선은 피해야 한다. 특히 하우스형 사육시설에서는 실내온도에 민감하므로 최

적의 온도를 제공하기위해 자동 점적관수시설이나 안개 분무시설 등을 갖추는 것이 좋고 대형 환풍시설, 선풍기 등의 시설이 되어야 좋다.

습도: 60 ~ 70%가 가장 좋다. 수분이 너무 많으면 각종 곰팡이 균이나 세균이 많아져 사육환경이 극도로 나빠질 뿐 아니라 각종 병에 걸릴 가

능성이 높음에 유념해야 한다.

: 자연광이 약간 있는 것이 좋다. 하지만 직사광선은 피해야하며 약간의 광선은 사육에도 좋은 효과를 제공한다.

  . 사육단계별 사육체계

 

흰점박이꽃무지의 사육체계도(순서도)

 

 

흰점박이꽃무지의 관리방법 및 사육조건

사육단계

사진

발육기간

관리방법

사육조건

채란

및 알

10일 전후

알을 받는 사육상자는 그대로 두고 수분만 관리함

습도 60 ~ 70%

온도 25 ~ 29

유충

2개월

사육상자내의 배지 윗부분이 마르면 수분을 보충함

습도 60 ~ 70%

온도 25 ~ 29

번데기

30일 내외

번데기가 된 그대로 관찰

습도 60 ~ 70%

온도 25 ~ 29

성충

3개월

과일, 곤충 제리포, 인공먹이 등

습도 60 ~ 70%

온도 25 ~ 29

 

   

. 유통 및 판매규격

 

유통은 성충과 유충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성충은 주로 체험학습용이나 관찰용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성충의 규격은 18 ~ 25 이다.

유충은 주로 으로 유통되고 있지만 체험학습용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유충의 크기는 30 내외다.

 

흰점박이꽃무지의 판매규격(생충)

충태

판매단위

개체수

용도

유충

350 ~ 400

건강보조식품

성충

마리

1

애완용, 학습용

 

   

. 유통기간

주로 생체를 즉시 사용한다.

가공하여 제작한 환이나 엑기스는 냉장보관을 원칙으로 하여 한달 정도이다.

. 보조제

(1) 생체: 먹이를 보조제로 혼합하여 유통할 수 있다.

(2) 건조분말: 환으로 제작하여 판매되기도 한다.

 

. 포장규격

(1) 포장은 단위로 포장할 수 있으며 비닐봉지나 플라스틱 밀폐용기에 넣어 포장할 수 있다.

. 운송시 주의사항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는 톱밥배지와 함께 자루에 넣고 스치로폼 박스나 종이박스에 넣어 운송할 수 있다. 성충은 공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용기에 톱밥과 같은 충진제를 넣어 유통할 수 있다. 

-자료 :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