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결과제 최종보고서
<표지>
일반과제( ○ ), 보안과제( ) (과제번호 : PJ008917)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생산량증대 및 품질 균일화 기술개발
(Technology for effective fertility/viability and even distributed quality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
영농조합법인 스머프곤충나라
경 기 도 농 업 기 술 원
남양주시농업기술센터
농촌진흥청
제 출 문
농촌진흥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생산량 증대 및 품질균일화 기술개발”과제의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연구수행기간 : 2012 . 3. 1. ∼ 2012. 12. 31.
제1세부연구과제 :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생산량증대 및 품질균일화 기술
2013. 1. 15
주관 연구기관명 : 남양주시농업기술센터
주관연구책임자 : 김 진 일
연 구 원 : 고 형 만
연 구 원 : 최 수 호
연 구 원 : 이 윤 복
연 구 원 : 이 진 구
연 구 원 : 조 정 주
연 구 원 : 권 효 창
연 구 원 : 조 금 숙
연 구 원 : 차 군 재
주관연구책임자 : 스머프곤충나라 김 진 일 ?
주관연구기관장 : 남양주시농업기술센터소장
|
요 약 문
Ⅰ. 제 목
○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생산량증대 및 품질 균일화 기술개발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곤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으로 국내 곤충산업 활성화를 위한 토대가 마련되어 곤충 사육 및 이용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 현재 산업곤충은 장수풍뎅이, 사슴벌레와 같은 애완용 곤충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시장확대를 위해서는 식․약용 곤충의 개발이 시급함
○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가능한 곤충은 메뚜기와 누에 밖에 없으나 흰점박이꽃
무지는 동의보감에 간에 좋은 곤충으로 알려져 있고 향후 식용곤충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가장 많은 곤충임
○ 흰점박이꽃무지에 대한 생산량 증대와 균일화 기술은 식․약용 산업곤충
활성화를 위해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됨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연구개발 범위
|
연구개발 내용 |
달성도(%) |
○유충 연중 생산을 위한 성충 산란시기 조절 기술개발 |
○ 산란시기 연2회 : 사육온도조절 - 가온처리 : 4월 가온(28℃)실시, 6월 성충 생산후 산란 8월 3령유충 생산 - 무가온처리(관행) : 8월 성충 생산후 산란 10월 3령유충 생산 |
100% |
○유충 령기별 분류사육 시기 구명 |
○분류시기 산란후 4회,유충령기별 분류사육 ○산란셋팅후 분류시기를 조절 유충의 생존 률과 생산량 증대 시기를규명 -셋팅후 분류일자 : 15일~70일 (5일간격 12시기) |
100% |
○유충 사육 적정밀도 구명 |
○유충 령기 3수준 : 1, 2, 3령 ○유충사육 밀도 5수준 ⇒30마리, 60마리, 90마리, 120마리, 150마리 |
100% |
○유충 저온저장 적정 온도 설정 |
○저온저장 적정온도 설정 ⇒0℃, 3℃, 5℃, 8ํ℃ |
100% |
Ⅳ. 연구개발결과
○ 성충 산란시기조절 기술개발
- 계대사육 문제점 보완 및 산란시기 조절을 통해 연중내 출하가능 유충생산
○ 산란후 유충 령기별 분류사육시기 구명
- 적절한 유충 령기별 분류사육시기를 구명 하여 기존 폐사율을 현저히 줄임
- 유충 분류사육을 통해 품질이 균일한 애벌레를 생산할수 있음
○ 유충사육 적정 밀도실험
- 유충사육시 적정한 밀도를 구명하여 폐사율을 현저히 줄임
- 유충 사육적정 밀도실험을 통하여 적정 공간과 먹이공급으로 효율적인 생산
○ 유충 저온저장 적정온도 설정
- 3령유충이 제품으로 출하되는것을 감안 살아있는 채로 번대기가 되기전 보
관 온도와 보관 기간을 설정함으로서 효율적 보유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적정 분류시기 적용 폐사율 감소와 생산증대
⇒ 농가 기술이전
○ 흰점박이 꽃무지 분류사육 시설 및 용기
⇒ 자체 시범사업 반영
○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적정 분리시기를 통한 품질균일화
⇒ 영농활용, 언론홍보
○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사육기술 매뉴얼 개발 및 보급
⇒ 영농교재 및 전문서적 발간
목 차
제 1 장 서 론 8
1절 현황과 문제점 8
2절 기술개발의 필요성 9
3절 연구개발의 목적과 범위 10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0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12
1절 재료 및 방법 12
2절 결과 및 고찰 13
1. 유충 연중생산을 위한 성충산란시기 조절기술 개발 15
가. 성충 산란시기 조절기술 개발 15
2. 유충 령기별 분류사육 시기 구명 19
가. 유충 령기별 분류사육 시기 구명실험 19
3. 유충사육 적정 밀도시험 25
가. 유충사육 적정 밀도시험 25
4. 유충 저온저장 적정온도 설정 28
가. 유충 저온저장 적정온도 설정실험 28
제 4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29
1절 기대효과 29
2절 활용방안 29
※ 참고문헌 30
표 목 차
<표 1> 관행 무가온처리 흰점박이 꽃무지 폐사율과 성충 우화율 17
<표 2> 가온처리 사육상자 밀도별 흰점박이 꽃무지 폐사율과 성충 우화율 18
<표 3> 분류시기 실험방법-1 12
<표 4> 분류시기 실험방법-2 12
<표 5> 유충 령기별 사육밀도에 따른 생존율 12
<표 6> 유충 저온저장 상태 변화 12
그 림 목 차
<그림 1> 성충 산란시기 조절을 위한 가온처리 시험 16
<그림 2> 성충 산란시기 조절을 위한 무가온처리 시험 17
<그림 3> 실험관련 사진-1 20
<그림 4> 실험관련 그래프 24
<그림 5> 실험관련 그래프 24
<그림 6> 실험관련 사진 25
<그림 7> 실험관련 그래프 27
<그림 8> 실험관련 사진 28
제1장 서 론
1절 현황과 문제점
곤충은 생물분류학상 절지동물문 머리,가슴,배 세부분으로 구분하며
가슴에 3쌍다리, 2쌍의 날개달린 벌레를 말한다(위키백과) 지구상에
는 130만 종이 서식하며, 밝혀진 곤충종의 수는 약86만종으로 인간
과 직접간접 관련 곤충종은 약 15,000종으로 추정(Gillott:농진청,2002)
된다.
이중 흰점박이 꽃무지 풍뎅이유충(굼벵이)은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의
약재로 쓰이는 곤충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그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
져있어 그가치가 아주 높은 곤충중 하나이다.
곤충의 약의용의 역사는 인간의 역사와 같으며 현재 약220여종이 약용
으로 이용하는 있다는 보고가 되어있다.
히포크라테스 수종, 황달치료에 곤충을 이용하였으며 신농본초경(21종)
,본초강목(106종),보초강목습유(25종),동의보감 충부(95종) 등이있다.
이중 흰점박이꽃무지풍뎅이(굼벵이는)동의보감에 단백질 보충용, 간을
보호하는 약재로 잘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서양의학에서 도 기능성 신약 개발을 위하여 곤충에서 추출
한 물질에 주목하고 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또한곤충의
대량사육을 통한 곤충산업화의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그리고 곤충관련 축제와 곤충산업은 지역의 청정이미지 제고와 이에
따른 부가가지치가 높은 농산물의 홍보와 판매는 물론 생태관광객을
유치하고, 나아가 지방자치단체의 세수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2010년에는 곤충산업의 활성화를
위한“곤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이 제정되어 2010년 8월부
터 시행되고 있다.
곤충산업은 예전보다 나은 환경에서 사육농가의 지원을 보장받고 있으
나, 아직까지는 사육기술의 현대화 및 수준 높은 곤충사육 교육에는 충
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2007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분야 곤충
자원 활용실태와 향후과제에서 국내 사육 곤충류는 12목 100여종
으로 주로 약용, 정서, 애완, 화분매개용, 천적 및 지자체 행사용 등
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국내 곤충시장 규모는 896∼1,019억원으로 추
산되고 있다. 그 중 약용곤충의 시장규모나 실태 또한 사육농가등
어떻게 사육되고 사육기술에 대한 정립이 되어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 많은곳에서 민간요법으로서의 약용곤충인 흰점밖이 꽃
무지의(굼벵이) 수요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과제를 통하여 사육기술의 적립,고품질,균일한 품질을 고루갖춘
생산능력을 키움으로서본격적인 곤충의 산업화에 큰기여를 할것으
로 보인다.
2절 기술개발의 필요성
⌜곤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국내 곤충산업 활성
화를 위한 토대가 마련되어 곤충사육 및 이용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현재 산업곤충은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나비와 같은 정서
애완용 곤충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시장확대 와 산업화를 위해서
는 식∙약용 곤충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는 현재 약용으로 쓰이는 흰점밖이꽃무지풍뎅이(굼벵이) 같은경
우 민간요법으로서 약재로 널리 알려져 있어 그수요는 증가추세인
반면 현재 어떠한 사육기술에 전문성 그리고 대량생산과 규격화에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현재곤충농가들의 실태는 전
문 사육시설이나 환경을 갖추지 못하고 기존시설을 보수또는 이용
하여 사육을 하게됨으로써 그 기술의 적립과 생산능력을 갖추지 못
한상태에서 소수에 농가에서 생산되고 있다. 이는 향후 농수산식품
부에서 굼벵이등 식품원료 등재를 위한 R&D 사업을 추진하고 있
다. 식품원료 등재시 시장은 확대와 수요증가가 예상되며 이에 발
맞추어 본과재 수행시 전문 사육 기술을 개발하여 산업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흰점박이꽃무지와 같은 곤충을 외국처럼 식용으로 법제화 하
기위한 노력과 함께 안정적으로 공급하기윈한 대량생산 연구가 필
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식용으로 가능한 곤충은 메뚜기와 누에 밖에 없으
나 흰점박이꽃무지(굼벵이)는 동의보감에 간에 좋은 곤충으로 알려
져있고 향후 식용곤충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가장많은 곤충이다.
흰점박이 꽃무지에 대한 생산량 증대와 균일화 기술은 식∙약용 산
업곤충 활성화를 위해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3절 연구개발의 목적과 범위
1. 연구개발의 목적
가. 성충 산란시기 조절 기술개발
나. 유충 분류 사육시기, 적정밀도, 적정 저장온도 구명
2. 연구개발의 범위
가. 유충 연중생산을 위한 성충 산란시기조절 기술개발
나. 유충 령기별 분류 사육시기 구명
다. 유충 사육 적정밀도 구명
라. 유충 저온저장 적정온도 설정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현재 알려진 꽃무지의 서식지는 우리나라의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전국적으로 사육하는 농가들이 각농장에 여러 가지방법으로
사육되고 있으며 생산되는량은 정확히 추산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
며 사육방법, 사육시먹이, 사육조건등은, 자연상태로의 일대기정도
가 기술되어 있는 정도이다.
곤충의 산업화를 이루려면 사육시설과 사육방법과 소비증가로 인한
공급방법 등이 풀어가야할 문제점으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과제를 수행하며 단순히 생산방식에 변화를
주는 것뿐 아니라. 정확한 생산방식의 확립을 통하여 품질 그리고
대량사육의 기본틀을 잡아나가는 것이 가장 필요한 기술이라고 판단
된다.
현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먹이로 참나무보다 뽕나무로 하였을때
간독성 및 면역 증강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특허
등록되었음. 장수풍뎅이, 사슴벌레등 산업곤충에 대한 유충 발효톱
밥 먹이, 성충 젤리,먹이 사육방법, 사육밀도 등에 연구가 수행되어
실내 사육시 안정적인 사육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국의 경우 멕시코에서는 식용곤충 60종을 통조림, 과자 등으로
가공하여 생산하고 있으며, 프랑스에서는 100여종의 곤충으로부터
신물질을 생산하는 연구를 수행중이다
본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농장자체 연구를 진행해본 결과 현재각
농가들의 생산량은 모종대비 생산량이 약 5배~6배정도인 것으로 확
인되었으나 이는 본농장에 산란개체 수 확인한결과 중간 폐사율을
조절한다면 생산량을 약20배까지 증대시킬수 있을 것 으로 판단하
여 본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는 생산원가 와 대량생산을 적립함으로써 다가올 곤충산업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1절 재료 및 방법
1. 유충 연중 생산을 위한 성충 산란시기 조절 기술개발
가. 개요
○ 산란시기 연2회 : 사육온도조절
- 가온처리 : 4월 가온(28℃)실시,
6월 성충 생산후 산란
8월 3령유충 생산
- 무가온처리(관행) : 8월 성충 생산후 산란
10월 3령유충 생산
나. 재료 및 방법
- 시험재료 : 월동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 처리방법 : 가온처리(4월부터 28℃ 가온사육), 무가온처리(관행)
- 시험방법
․가온처리 : 발효톱밥 40L를 채운 사육상자(45×59×30cm)에 월동한 유충을
각 각 100, 150 ,200, 250, 300마리씩 넣고 4반복으로 4월부터 28℃ 사육
․무가온처리 : 발효톱밥 20kg 7포를 채운 2m×1.2m 크기 사육상에 월동한
유충을 5kg(1,800마리) 넣고 5반복으로 사육
- 조사내용 : 성충우화 시기, 성충 우화율
2. 유충 령기별 분류사육시기 구명
가. 개요
○ 분류시기 산란후 4회, 유충령기별 분류사육
○ 산란셋팅후 분류시기를 조절 유충의 생존률과 생산량 증대시기를
규명
- 셋팅후 분류일자 : 15일~70일 (5일간격 12시기)
나. 재료 및 방법
- 시험재료 : 월동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 처리방법 : 날짜별 성충분류, 날짜 도래시 성충을 새로운 사육상자 상으로 옮김
- 시험방법
․ 셋팅후 분류일자 : 15일~70일(5일간 12시기)
․ 날짜별 성충분류 : 발효톱밥 30L를 채운 사육상자
(45×59×30cm)에 성충 40마리씩 넣고
실험실시
․ 먹이공급, 온도, 습도, 수분조절, 조건 8시간/일 동일조건
3. 유충 사육 적정 밀도 규명
가. 개요
○ 유충 령기 3수준 : 1, 2, 3령
○ 유충사육 밀도 5수준 : 30마리, 60마리, 90마리, 120마리, 150마리
나. 재료 및 방법
- 시험재료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 처리방법 : 유충령기 3수준(1, 2, 3령), 사육밀도 5수준(30, 60, 90, 120, 150마리)
- 시험방법 : 발효톱밥 30L를 채운 사육상자(40×57×18cm)에 유충령기 3수준별
사육밀도를 5수준으로 하여 3반복으로 사육
- 조사내용 : 3령 유충 생존율
4. 유충 저온저장 적정온도 설정
가. 개요
○ 저온저장 적정온도 설정 : 0, 3, 5, 8ํ℃
나. 재료 및 방법
- 시험재료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 처리방법 : 저온저장수준 4수준(0, 3, 5, 8℃)
- 시험방법
․사육상자(17×25×17cm)에 발효톱밥을 13cm높이로 채운 후 3령 유충을
30마리씩 넣고 처리별 3반복으로 저온에서 저장 후 유충의 상태 확인
- 조사내용 : 유충 생존율
2절 결과 및 고찰
1. 유충 연중생산을 위한 성충 산란시기 조절기술개발
가. 성충 산란시기 조절기술 개발
관행 흰점박이꽃무지 유충(굼벵이)는 1년동안 사육하여 출하시기가
보통11월 경으로 1년에 1번정도 생산되는 것을 보완하여 산업곤충
으로서 연중 보유가 힘든 실정인것을 보완하고 또한 계대사육(연속
사육의)문제점을 보완 함으로써 사육농가에서 연중내내 출하가능한
유충을 보유함으로서 경쟁력을 갖출수 있도록 하는것이 목적임.
- 4월 가온처리시 45×59×30cm 사육상자에 유충을 200마리 넣었을 때 성충
우화율이 98.5%로 가장 높았음
- 관행 자연상태에서는 성충 우화율이 95.4%이었음
- 가온처리시 성충 우화시기 5월말~6월말 산란시기는 6월 초순관행
자연상태시 성충우화시기 7월초~8월중순 산란시기 8월 중순임
이로인해 가온상태 우화된 성충이 산란할 경우 자연상태시 우화된
성충이 산란하는 시기에 3령유충 생산가능함.
- 이상의 결과로 월동한 유충을 관행 무가온과 가온을 실시하여 1년에 산란 시기를 두 번으로 조절하면 유충을 연중 보유할 수 있어 농가 소득향상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함
|
|
각 사육상자별 유충 입식 준비 |
사육상자별 유충 마리수 확인 분류 |
|
|
유충 입식 실시 |
입식완료 모습 |
|
|
번데기 방 발견 |
성충우화 |
<그림 1> 성충 산란시기 조절을 위한 가온처리 시험
|
|
각 사육상별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입식준비 |
유충 사육상별로 kg수 확인 분류 |
|
|
kg별로 입식 실시 |
입식완료 모습 |
<그림 2> 성충 산란시기 조절을 위한 무가온처리 시험
<표 1> 관행 무가온처리 흰점박이꽃무지 폐사율과 성충 우화율
밀도 (마리/ 사육상자) |
반복 |
폐사 (마리/ 사육상자) |
성충우화 (마리/ 사육상자) |
폐사율 (%) |
성충우화율 (%) |
1,800 |
Ⅰ |
65 |
1,735 |
3.6 |
96.4 |
Ⅱ |
78 |
1,722 |
4.3 |
95.7 | |
Ⅲ |
69 |
1,731 |
3.8 |
96.2 | |
Ⅳ |
97 |
1,703 |
5.4 |
94.6 | |
Ⅴ |
101 |
1,699 |
5.6 |
94.4 | |
평균 |
82.0 |
1,718.0 |
4.5 |
95.5 |
<표2> 가온처리 사육상자 밀도별 흰점박이꽃무지 폐사율과 성충 우화율
밀도 (마리/ 사육상자) |
반복 |
폐사 (마리/ 사육상자) |
성충우화 (마리/ 사육상자) |
폐사율 (%) |
성충우화율 (%) |
100 |
Ⅰ |
3 |
97 |
3.0 |
97.0 |
Ⅱ |
4 |
96 |
4.0 |
96.0 | |
Ⅲ |
3 |
97 |
3.0 |
97.0 | |
Ⅳ |
2 |
98 |
2.0 |
98.0 | |
평균 |
3.0 |
97.0 |
3.0 |
97.0 | |
150 |
Ⅰ |
3 |
147 |
2.0 |
98.0 |
Ⅱ |
5 |
145 |
3.3 |
96.7 | |
Ⅲ |
2 |
148 |
1.3 |
98.7 | |
Ⅳ |
5 |
145 |
3.3 |
96.7 | |
평균 |
3.8 |
146.25 |
2.5 |
97.5 | |
200 |
Ⅰ |
4 |
196 |
2.0 |
98.0 |
Ⅱ |
3 |
197 |
1.5 |
98.5 | |
Ⅲ |
2 |
198 |
1.0 |
99.0 | |
Ⅳ |
3 |
197 |
1.5 |
98.5 | |
평균 |
3.0 |
197.0 |
1.5 |
98.5 | |
250 |
Ⅰ |
11 |
239 |
4.4 |
95.6 |
Ⅱ |
12 |
238 |
4.8 |
95.2 | |
Ⅲ |
18 |
232 |
7.2 |
92.8 | |
Ⅳ |
17 |
233 |
6.8 |
93.2 | |
평균 |
14.5 |
235.5 |
5.8 |
94.2 | |
300 |
Ⅰ |
17 |
283 |
5.7 |
94.3 |
Ⅱ |
32 |
268 |
10.7 |
89.3 | |
Ⅲ |
29 |
271 |
9.7 |
90.3 | |
Ⅳ |
35 |
265 |
11.7 |
88.3 | |
평균 |
28.3 |
271.8 |
9.5 |
90.6 |
2. 유충 령기별 분류사육 시기 구명
가. 유충 령기별 분류사육 시기 구명
- 2011년 자체 시험결과 산란후 유충의 분류를 하지 않고 사육한 결과
약 60%이상의 폐사율을 기록하여 이를 보완 하고자 분류사육 시기를
달리하여 사육 하는 방법을 선택 하였다.
- 실험실시 결과 분류를 늦게 실시할수록 폐사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성충에 산란량이 시간일 지날수록 높아지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분류를 산란입식 15일이후 10간격이
가장 적당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아래 표를 3과 4의 데이터를
보면 성충이 한곳에 지속적으로 알을 낳는 것은 일정량이 되면 더
이상 산란을 하지 않는 것과 또한 분류시기가 늦어질수록 폐사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또한 방법2를 보면 새로운 케이스로 산란한 성충을 5일간격으로 옮기는
방법은 산란량이 한곳에서 오래있는 것보단 새로운 공간에서 산란을
더많이 하는 것으로 보아 이는 성충이 산란 배지에 유충여부를 판단하여
산란을 계속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방법1 과 2를 실험해본 결과 분류시기는 산란 입식후 15일 이후 10일
간격으로 산란 장소를 즉 산란배지를 갈아준다면 유충을 령별 분분하지
않고 같은 시기에 산란한 유충이 대부분으로 3령이 될 때까지 동일케이스에
사육을 해도 높은 산란량과 적은 폐사율로 생산량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
|
각 케이스별 흰점박이 꾳무지 성충 산란준비 |
성충 케이스별로 마리수 확인 입식 |
|
|
각 케이스별 먹이공급 동일 |
총36개 케이스 입식완료 |
|
|
방법1 일자 별로 성충분리 작업 |
방법2 새로운 케이스로 기존성충 이동 |
|
|
각 게이스별 유충 산란량 조사 |
유충 산량량 마릿수 확인 및 폐사율 확인 |
<그림3> 실험 관련 사진-
<표3> 분류시기 실험 방법-1
구분 |
반복 |
1령(마리) |
2령(마리) |
3령(마리) |
폐사(마리) |
총계(마리) |
07월 15일 |
Ⅰ |
139 |
198 |
230 |
9 |
576 |
Ⅱ |
213 |
225 |
220 |
11 |
669 | |
Ⅲ |
183 |
219 |
201 |
8 |
611 | |
평균 |
178.3 |
214.0 |
217.0 |
9.3 |
618.7 | |
07월 20일 |
Ⅰ |
333 |
210 |
225 |
0 |
768 |
Ⅱ |
321 |
198 |
235 |
3 |
757 | |
Ⅲ |
298 |
231 |
250 |
2 |
781 | |
평균 |
317.3 |
213.0 |
236.7 |
1.7 |
768.7 | |
07월 25일 |
Ⅰ |
321 |
220 |
301 |
3 |
845 |
Ⅱ |
315 |
231 |
271 |
5 |
822 | |
Ⅲ |
298 |
250 |
286 |
2 |
836 | |
평균 |
311.3 |
233.7 |
286.0 |
3.3 |
834.3 | |
07월 30일 |
Ⅰ |
289 |
228 |
286 |
5 |
808 |
Ⅱ |
278 |
234 |
274 |
7 |
793 | |
Ⅲ |
281 |
259 |
258 |
8 |
806 | |
평균 |
282.7 |
240.3 |
272.7 |
6.7 |
802.3 | |
08월 05일 |
Ⅰ |
277 |
190 |
200 |
34 |
701 |
Ⅱ |
275 |
187 |
201 |
36 |
699 | |
Ⅲ |
280 |
207 |
198 |
34 |
719 | |
평균 |
277.3 |
194.7 |
199.7 |
34.7 |
706.3 | |
08월 10일 |
Ⅰ |
261 |
200 |
197 |
28 |
686 |
Ⅱ |
248 |
178 |
188 |
35 |
649 | |
Ⅲ |
239 |
187 |
186 |
34 |
646 | |
평균 |
249.3 |
188.3 |
190.3 |
32.3 |
660.3 | |
08월 15일 |
Ⅰ |
221 |
221 |
198 |
37 |
677 |
Ⅱ |
212 |
187 |
218 |
36 |
653 | |
Ⅲ |
222 |
189 |
207 |
35 |
653 | |
평균 |
218.3 |
199.0 |
207.7 |
36.0 |
661.0 | |
08월 20일 |
Ⅰ |
198 |
201 |
200 |
43 |
642 |
Ⅱ |
189 |
222 |
253 |
47 |
711 | |
Ⅲ |
187 |
203 |
212 |
36 |
638 | |
평균 |
191.3 |
208.7 |
221.7 |
42.0 |
663.7 | |
08월 25일 |
Ⅰ |
188 |
221 |
204 |
49 |
662 |
Ⅱ |
179 |
212 |
201 |
58 |
650 | |
Ⅲ |
171 |
198 |
212 |
55 |
636 | |
평균 |
179.3 |
210.3 |
205.7 |
54.0 |
649.3 | |
08월 30일 |
Ⅰ |
157 |
188 |
252 |
61 |
658 |
Ⅱ |
148 |
179 |
200 |
59 |
586 | |
Ⅲ |
158 |
181 |
232 |
62 |
633 | |
평균 |
154.3 |
182.7 |
228.0 |
60.7 |
625.7 | |
09월 05일 |
Ⅰ |
109 |
153 |
301 |
69 |
632 |
Ⅱ |
107 |
133 |
320 |
72 |
632 | |
Ⅲ |
108 |
132 |
298 |
65 |
603 | |
평균 |
108.0 |
139.3 |
306.3 |
68.7 |
622.3 | |
09월 10일 |
Ⅰ |
105 |
150 |
281 |
75 |
611 |
Ⅱ |
98 |
160 |
271 |
58 |
587 | |
Ⅲ |
99 |
161 |
261 |
68 |
589 | |
평균 |
100.7 |
157.0 |
271.0 |
67.0 |
595.7 |
<표4> 분류시기 실험 방법-2
구분 |
반복 |
1령(마리) |
2령(마리) |
3령(마리) |
폐사(마리) |
총계(마리) |
07월 15일 |
Ⅰ |
189 |
178 |
210 |
2 |
579 |
Ⅱ |
183 |
176 |
212 |
1 |
572 | |
Ⅲ |
183 |
179 |
213 |
2 |
577 | |
평균 |
185.0 |
177.7 |
211.7 |
1.7 |
576.0 | |
07월 20일 |
Ⅰ |
172 |
321 |
0 |
1 |
494 |
Ⅱ |
173 |
322 |
0 |
2 |
497 | |
Ⅲ |
193 |
356 |
0 |
1 |
550 | |
평균 |
179.33 |
333.00 |
0.00 |
1.33 |
513.67 | |
07월 25일 |
Ⅰ |
198 |
325 |
0 |
3 |
526 |
Ⅱ |
197 |
367 |
0 |
2 |
566 | |
Ⅲ |
183 |
365 |
0 |
2 |
550 | |
평균 |
192.7 |
352.3 |
0.0 |
2.3 |
547.3 | |
07월 30일 |
Ⅰ |
153 |
360 |
0 |
1 |
514 |
Ⅱ |
161 |
341 |
0 |
2 |
504 | |
Ⅲ |
160 |
354 |
0 |
1 |
515 | |
평균 |
158.0 |
351.7 |
0.0 |
1.3 |
511.0 | |
08월 05일 |
Ⅰ |
158 |
364 |
0 |
1 |
523 |
Ⅱ |
164 |
367 |
0 |
0 |
531 | |
Ⅲ |
143 |
366 |
0 |
1 |
510 | |
평균 |
155.0 |
365.7 |
0.0 |
0.7 |
521.3 | |
08월 10일 |
Ⅰ |
142 |
354 |
0 |
2 |
498 |
Ⅱ |
122 |
326 |
0 |
0 |
448 | |
Ⅲ |
132 |
358 |
0 |
0 |
490 | |
평균 |
132.0 |
346.0 |
0.0 |
0.7 |
478.7 | |
08월 15일 |
Ⅰ |
135 |
348 |
0 |
0 |
483 |
Ⅱ |
136 |
289 |
0 |
2 |
427 | |
Ⅲ |
140 |
361 |
0 |
0 |
501 | |
평균 |
137.0 |
332.67 |
0.0 |
0.7 |
470.3 | |
08월 20일 |
Ⅰ |
136 |
332 |
0 |
0 |
468 |
Ⅱ |
135 |
324 |
0 |
1 |
460 | |
Ⅲ |
141 |
321 |
0 |
3 |
465 | |
평균 |
137.3 |
325.7 |
0.0 |
1.3 |
464.3 |
구분 |
반복 |
1령(마리) |
2령(마리) |
3령(마리) |
폐사(마리) |
총계(마리) |
08월 25일 |
Ⅰ |
131 |
298 |
0 |
1 |
430 |
Ⅱ |
135 |
288 |
0 |
1 |
424 | |
Ⅲ |
121 |
298 |
0 |
1 |
420 | |
평균 |
129.0 |
294.7 |
0.0 |
1.0 |
424.7 | |
08월 30일 |
Ⅰ |
101 |
298 |
0 |
0 |
399 |
Ⅱ |
123 |
278 |
0 |
1 |
402 | |
Ⅲ |
128 |
268 |
0 |
3 |
399 | |
평균 |
117.3 |
281.3 |
0.0 |
1.3 |
400.0 | |
09월 05일 |
Ⅰ |
107 |
259 |
0 |
0 |
366 |
Ⅱ |
108 |
249 |
0 |
1 |
358 | |
Ⅲ |
107 |
264 |
0 |
3 |
374 | |
평균 |
107.3 |
257.3 |
0.0 |
1.3 |
366.0 | |
09월 10일 |
Ⅰ |
77 |
257 |
0 |
1 |
335 |
Ⅱ |
87 |
234 |
0 |
3 |
324 | |
Ⅲ |
67 |
236 |
0 |
1 |
304 | |
평균 |
77.0 |
242.3 |
0.0 |
1.7 |
321.0 |
- 시험방법 1에서는 최고 산란량이 마리당 약 42마리이나 시험2는 마리당
약185마리로 많은 산란량을 보였으며 또한 1령과 2령이 많이 보이는 것은
크기나 품질이 균일한 것을 볼 수 있었다.
- 이는 시기를 잘맞추어 산란베지를 새로히 깔아주는 방법으로 같은 마리수의
성충으로 많은 산란을 받을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4> 실험 관련 그래프-
<그림5> 실험 관련 그래프-
3. 유충사육 적정 밀도 시험
가. 유충사육 적정밀도 시험
- 2011년 자체 시험결과 약 1만마리 유충을 밀도 구분없이 한 곳에서 사육
하였을 때 약 30kg의 유충이 생산되어야 하지만 약 10kg, 3,500마리의 3령
유충이 생산되어 폐사율이 약 65%로 확인되어 이를 개선하고자 함 이였다.
- 1, 2령 유충은 처리밀도 모두에서 우수한 생존율을 보여 먹이량과 공간적
면에서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3령 유충은 120마리 밀도까지는 우수한 생존율을 보였으나 150마리의
밀도에서 폐사율이 현재 5.1%로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 1, 2령 유충은 밀도에 큰 문제가 없으나 3령으로 성장할 것을 대비한다면
적정밀도는 40×57×18cm 사육상자에 톱밥량 30L에서 유충 120마리를 키우는
것이 경제성이나 생산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
유충 령기별 사육밀도시험 전경 |
유충 분류 및 밀도 조절 |
|
|
각 처리별 유충 상태 확인 |
폐사된 유충 모습 |
<그림6> 실험 관련 사진
<표 5> 유충 령기별 사육밀도에 따른 생존율
분류(령) |
입식(마리) |
반복 |
생존(마리) |
폐사(마리) |
생존률(%) |
폐사율(%) |
1 |
30 |
Ⅰ |
30 |
0 |
98.9 |
1.1 |
Ⅱ |
30 |
0 | ||||
Ⅲ |
29 |
1 | ||||
60 |
Ⅰ |
60 |
0 |
100.0 |
0.0 | |
Ⅱ |
60 |
0 | ||||
Ⅲ |
60 |
0 | ||||
90 |
Ⅰ |
90 |
0 |
99.6 |
0.4 | |
Ⅱ |
90 |
0 | ||||
Ⅲ |
89 |
1 | ||||
120 |
Ⅰ |
118 |
2 |
99.4 |
0.6 | |
Ⅱ |
120 |
0 | ||||
Ⅲ |
120 |
0 | ||||
150 |
Ⅰ |
147 |
3 |
99.3 |
0.7 | |
Ⅱ |
150 |
0 | ||||
Ⅲ |
150 |
0 | ||||
2 |
30 |
Ⅰ |
30 |
0 |
100.0 |
0.0 |
Ⅱ |
30 |
0 | ||||
Ⅲ |
30 |
0 | ||||
60 |
Ⅰ |
60 |
0 |
99.4 |
0.6 | |
Ⅱ |
60 |
0 | ||||
Ⅲ |
59 |
1 | ||||
90 |
Ⅰ |
90 |
0 |
100.0 |
0.0 | |
Ⅱ |
90 |
0 | ||||
Ⅲ |
90 |
0 | ||||
120 |
Ⅰ |
120 |
0 |
99.7 |
0.3 | |
Ⅱ |
120 |
0 | ||||
Ⅲ |
119 |
1 | ||||
150 |
Ⅰ |
150 |
0 |
100.0 |
0.0 | |
Ⅱ |
150 |
0 | ||||
Ⅲ |
150 |
0 | ||||
3 |
30 |
Ⅰ |
30 |
0 |
100.0 |
0.0 |
Ⅱ |
30 |
0 | ||||
Ⅲ |
30 |
0 | ||||
60 |
Ⅰ |
60 |
0 |
99.4 |
0.6 | |
Ⅱ |
60 |
0 | ||||
Ⅲ |
59 |
1 | ||||
90 |
Ⅰ |
90 |
0 |
100.0 |
0.0 | |
Ⅱ |
90 |
0 | ||||
Ⅲ |
90 |
0 | ||||
120 |
Ⅰ |
119 |
1 |
99.7 |
0.3 | |
Ⅱ |
120 |
0 | ||||
Ⅲ |
120 |
0 | ||||
150 |
Ⅰ |
143 |
7 |
94.9 |
5.1 | |
Ⅱ |
143 |
7 | ||||
Ⅲ |
142 |
8 |
<그림7> 실험 관련 그래프-
4. 유충 저온저장 적정온도 설정
가. 유충 저온저장 적정온도 설정실험
- 3령 유충이 번데기로 되지 않고 상품성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정 온도와 기간을 설정하는데 실험에 목적이 있다.
- 0, 3℃에서는 5월 11일 저온저장 처리하여 6월 18일 조사에서 전부 폐사
하여 적정하지 않은 온도로 확인되었다.
- 5, 8℃에서는 9월3일 저온저장 처리하여 현재까지 상태가 약 120일 이상
지속되었음에도 폐사 1마리 외에 나머지는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보아
적정 저장온도는 5 ~ 8℃로 확인되었다.
- 이는 제품 출하가능한 유충을 약 4개월 정도 보관기간을 연장하여 현재
연 1회생산시 출하가능 시기가 11월~2월 정도임을 감안하였을 때 기시기에도
유충을 저온저장(5~8℃)하여 살아있는 상태로 보관하여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
처리별 유충 저온저장 실시 |
저온저장 온도 setting |
|
|
폐사된 유충 |
처리별 유충 상태 |
<그림8> 실험 관련사진-
<표 6> 유충저온저장 상태변화
구 분 |
온도/상태 및 폐사 |
비고 | |||||
0˚C |
3˚C |
5˚C |
8˚C | ||||
5월 11일 |
~ |
5월 15일 |
상태불량 |
양호 |
- |
- |
0˚C,3˚C 실험시작 |
05월 16일 |
~ |
05월 20일 |
상태불량 |
양호 |
- |
- |
|
05월 21일 |
~ |
05월 30일 |
폐사4. 상태불량 |
정상 |
- |
- |
|
06월 01일 |
~ |
06월 05일 |
50%폐사.상태불량 |
20% 상태불량 |
- |
- |
|
06월 06일 |
~ |
06월 10일 |
6월7일모두 폐사 |
폐사2. 상태불량 |
- |
- |
0˚C실험종료 |
06월 11일 |
~ |
06월 15일 |
- |
폐사6. 상태불량 |
- |
- |
|
06월 16일 |
~ |
06월 18일 |
- |
18일 모두폐사 |
- |
- |
3˚C실험종료 |
09월 15일 |
~ |
09월 20일 |
- |
- |
양호 |
양호 |
5˚C,8˚C실험시작 |
09월 21일 |
~ |
09월 25일 |
- |
- |
양호 |
양호 |
|
09월 26일 |
~ |
09월 30일 |
- |
- |
양호 |
양호 |
|
10월 01일 |
~ |
10월 05일 |
- |
- |
양호 |
양호 |
|
10월 06일 |
~ |
10월 10일 |
- |
- |
양호 |
양호 |
|
10월 11일 |
~ |
10월 15일 |
- |
- |
양호 |
양호 |
|
10월 16일 |
~ |
10월 20일 |
- |
- |
양호 |
양호 |
|
10월 21일 |
~ |
10월 30일 |
- |
- |
폐사1,상태양호 |
양호 |
|
11월 01일 |
~ |
11월 05일 |
- |
- |
양호 |
양호 |
|
11월 06일 |
~ |
11월 10일 |
- |
- |
양호 |
양호 |
|
11월 11일 |
~ |
11월 15일 |
- |
- |
양호 |
양호 |
|
11월 16일 |
~ |
11월 20일 |
- |
- |
양호 |
양호 |
|
제4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절 기대효과
1.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의 생존률을 높여 최소 모충대비 생산유충 최대화
- 기존 5배 ~6배 정도인 모충대비 유충을 약20배까지 증대시켜 실질적 농가에
원가 절감과 소득증대 가능
- 1kg 모충 약 20만원시 5배 생산시 100만원, 20배생산시 400만원의 소득증가
=> 약 400%소득증가 예상
2. 적정시기 령기별 분류사육으로 유충 품질균일화 및 품질관리 가능
=> 산업화에 안정적 공급에 기여
2절 활용방안
1.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적정 분류시기 적용 폐사율 감소와 생산량 증대기술을
농가에 기술이전하여 농가수익 창출에 기여
2. 흰점박이 꽃무지 분류사육 시설 및 용기 자체 시범사업에 반영하여 이를
토대로 생산농가에 적극 활용
3.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적정 분류시기를 통한 품질균일화 및 생산량 증대
기술을 적극 영농에 활용하며 언론홍보에 적극활용
4.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사육기술 매뉴얼 제작 및 보급
참 고 문 헌
정철모, 2007, 농촌관관진흥을 위한 경관 농업의 확대방안, 농촌관광연구지
농업과학기술원, 2006, 유용곤충 산업화를 위한 전국 곤충사육농가 실태조사 보고서
농업과학기술원, 2008, 유용곤충 산업화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심포지엄
농림수산식품부, 2010,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국립농업과학원, 2012, 국내외 식∙약용 및 사료화 곤충산업 발전을 위한 심포지엄
농수산식품부, 2012, 곤충사육 매뉴얼
주 의
이 보고서는 농촌진흥청에서 시행한 「 농업인기술개발사업 」의 연구보고서입니다. 2. 이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발표할 때는 반드시 농촌진흥청에서 시행한 「 농업인기술개발사업 」의 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3. 국가과학기술 기밀유지에 필요한 내용은 대외적으로 발표 또는 공개해서는 안됩니다. |
'흰점박이꽃무지 굼벵이 > 흰점박이꽃무지 사육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대량번식 기술개발 (0) | 2014.09.15 |
---|---|
흰점박이꽃무지(굼벵이) 사육 방법 (0) | 2014.09.12 |
흰점박이꽃무지 사육방법(2) (0) | 2014.09.06 |
흰점박이꽃무지 사육방법(1) (0) | 2014.09.06 |
흰점박이꽃무지 녹강병 방제 및 소독지침서 (0) | 2014.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