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이 평가하는 한국사회 신뢰도가 100점 만점에, 50점도 넘지 못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세대별 남녀 직장인 1,625명을 대상으로 <한국사회 신뢰도>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이 평가한 한국사회 신뢰도 점수가 평균 45.6점을 기록했다.
세대별 한국사회에 대한 신뢰도를 보면, 전후세대(1940년~50년대 초반생)의 경우 63.3점을 줘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고속성장과 경제개발의 주역인 베이비붐세대(1955년~60년생)가 50.0점으로 뒤를 이었다. 이 밖에,
▲80년대 학생운동의 주역인 386세대(1960년대 생) 47.0점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진 첫 세대인 X세대(1970년대 생) 46.0점
▲경제적인 풍요를 누린 Y세대(1980년대 생) 44.8점 등이었다.
한편, 이들 직장인들이 평가하는 현재 자신에 대한 평가 점수는 평균 63.7점으로 조사됐다.
세대별로는 베이붐세대가 66.7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X세대(65.4점)
▲Y세대(63.0점)
▲386세대(62.8점)
▲전후세대(62.7점) 순이었다.
각 세대별로 꿈꾸는 ‘성공적인 인생’도 다소 차이가 있었다.
20~30대가 많은 X세대와 Y세대 직장인들 중에서는 ‘큰 걱정 없이 안정적인 수입을 올리며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편안한 삶’을 꼽은 응답자가 각각 43.4%, 45.0%였다.
특히, Y세대 직장인들은 ‘남들이 부러워하는 직업과 그 분야에서 인정받는 삶’을 선택한 비율이 22.9%로 타 세대에 비해 높았다.
386세대는 ‘큰 걱정 없이 안정적인 수입,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하는 편안한 삶’이 30.3%로 가장 많았다.
그 외 ‘정의를 이루고 신념을 실천하는 삶’이 23.9%로 뒤를 이었다.
베이비붐세대 직장인들은 ‘수입은 적지만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사는 삶(23.9%)’이 1위를 차지했다.
전후세대들은 26.7%가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삶’이라고 답했다.
-<datanews>, 2010.04.22.
'청춘경영 > 언론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o Vadis, Corea(한국이여, 어디로 가시나이까?)" (0) | 2010.05.07 |
---|---|
마스터스의 ‘역발상’ 전략에서 배워라 (0) | 2010.05.06 |
예스맨 (0) | 2010.04.28 |
연예인 자살 생각, 40% 이상 (0) | 2010.04.27 |
우리나라 비서들이 가장 모시고 싶은 상사 (0) | 2010.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