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다시 읽고 깊이 읽기-장석주의 <마흔의 서재> <마흔의 서재>는 딱히 “이런 부류의 책이다”라고 단정하기가 어렵다. 자그마치 3만 권의 장서를 보유한 시인이자, 에세이스트답게 <그리스인 조르바>에 나오는 조르바처럼 문학의 여러 장르를 맨발로 자유롭게 넘나드는 자칭 문장노동자 장석주. 문장노동자란 말이 생소하다. .. 부동산을 읽다/다시 읽고 깊이 읽기 2015.01.08
17. 다시 읽고 깊이 읽기-김애리의 <책에 미친 청춘> 책은 지상에서 가장 위대한 세계다, <책에 미친 청춘> 밤은 깊어 가는데 기상 시간은 정해져 있다 잠은 오질 않는데 기상 시간은 정해져 있다 새벽이 밝아 오는데 기상 시간은 정해져 있다 한 때 장기하가 몸담았던 밴드 ‘청년실업’의 <기상 시간은 정해져 있다>의 노랫말 일부.. 부동산을 읽다/다시 읽고 깊이 읽기 2014.09.12
2. 다시 읽고 깊이 읽기-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다시 읽고 깊이 읽기-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제 1 장 나를 찾아가는 시간 제 2 장 세상과의 대화 제 3 장 나를 감동시키는 자기혁명 제 4 장 자기혁명을 위한 배움과 성장 제 5 장 미래를 여는 변화와 도전 당신은 지금 삶의 주인인가? (.....) 공감력 부재의 현장이었다. 필자는 나.. 부동산을 읽다/다시 읽고 깊이 읽기 2012.03.23
스무살 청춘들에게-<철수사용설명서> 심사가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심사위원 다섯 명 전원의 만장일치로 너무나 쉽게 당선이 결정된 2011년 제35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루저 문학의 최고 극단"이란 평과 함께, "루저를 다룬 새로운 작품이 더 이상 나올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던지며, "좋은 소설은 익숙한 소.. 청춘경영/청춘 2011.11.06
<누가 뭐라든 너만의 궤도를 그려라> 저자 송화선이 2009년 여름부터 2011년 봄까지 시사월간지를 통해 연재한 이야기 중 독자들의 가슴을 뛰게 할 내용들만 모아 엮은 책이다. 이 책은 남들이 부러워하는 인생을 살았지만 새로운 인생에서 행복과 자유를 느끼면 사는 ‘행복한 어른’들을 소개한다. 잡동사니 수집가 현.. 독서경영/독서 2011.11.05
책에도 영혼이 있다 "네가 보는 책들 한 권 한 권이 모두 영혼을 갖고 있어. 그것을 쓴 사람의 영혼과 그것을 읽고 살면서 꿈꾸었던 이들의 영혼 말이야."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의 <바람의 그림자>중에서, -PHOTO : 북한산 둘레길 제6구간(2010) 많은 이들이 싫증을 잘내고 포기를 잘하는 이유는 그만큼 간절하지 않았기 때.. 메디치경영/명언 2010.12.22
책 읽는 나라 일본을 보며... 일본 도쿄의 지하철 풍경은 서울과는 사뭇 다르다. 한국인들은 책 읽는 일본인이 의외로 많은 점에 놀라게 된다. 일본 사람들은 가방 속에 문고판 책을 넣고 다니면서 틈만 나면 꺼내 읽는다. 며칠 전, 도쿄의 출근길 지하철에서 정말 깜짝 놀랄 만한 모습을 보았다. 초등학교 3~4학년쯤 된 학생이 지하.. 청춘경영/언론스크랩 2010.04.21
법정스님 신드롬의 그림자 대형서점 베스트셀러 종합순위를 보니 1~20위에서 13종이 얼마 전 세상을 떠난 법정 스님이 쓰신 책입니다. 스님이 남기신 책들이 서점가를 덮친 듯합니다. 이를 보고 있으니 많은 생각이 듭니다. 어찌 해석하면 스님이 지향했던 맑고 향기로운 삶을 살아가지 못하는 우리네 일상에 대한 질타로 읽힙니.. 메디치경영/예술-기업문화 2010.04.18
당신을 해고 시켜라 정리해고 앞둔 직장인들 심리 예리하게 묘사한 책, <당신을 해고시켜야 합니다> 2001년 미국 사회는 경제강국으로 이끌었던 닷컴버블이 가라앉으면서 대량해고와 실직에 직면하게 된다. 시카고의 한 광고회사. 그들의 일상은 평범하다. 그 시절 광고회사는 사람들의 소비심리를 자극하며 닷컴버블.. 메디치경영/예술-기업문화 2010.03.26
독서는 취미가 아니라 전쟁이다 "두 가지에서 영향 받지 않는다면 우리 인생은 5년이 지나도 지금과 똑같을 것이다. 그 두 가지란 우리가 만나는 사람과 우리가 읽는 책이다." - 동기부여 연설가이자 작가, 찰스 존스 뒤돌아보는 일은 아름답다. 발걸음을 돌려서 보는 풍경도 아름답다. 매일 보는 사람도 문득 뒷모습이 더 아름다워 보.. 독서경영/독서 2009.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