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20대, 장점 1위는? 오늘을 사는 대한민국 20대는 스스로 가장 큰 장점으로 '도전정신'을 꼽았고, 약점으로는 '이기주의'를 지목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캠퍼스잡앤조이가 17일 20대 남녀 306명(남자 159명 여자 147명)에게 33개의 공통 표현을 제시하고 3가지 질문을 던진 후 결과를 발표했다. 첫번째 질문 '오늘의 20대가 가.. 청춘경영/청춘 2011.05.17
한국 어린이·청소년 “나는 행복하지 않아요”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OECD 국가중 최하위… '학업압박' 가장 큰 원인 우리나라 어린이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꼴찌'로 조사됐다. 그만큼 한국 어린이들은 스스로가 "불행하다"고 느끼고 있다는 얘기다.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 염유식 교수팀이 4.. 청춘경영/청춘 2011.05.10
청소년 10명 중 7명 “사는 게 스트레스” 청소년 10명 중 7명 “사는 게 스트레스”........ 우리나라 청소년(15~24세) 10명 중 7명은 '전반적인 생활'에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제결혼 가정의 학생 수는 3만명을 넘어서 5년새 5배 가량 증가했다. 12~19세의 인터넷쇼핑 이용률도 70.5%에 달했다. 직업을 선택할 때 청소년의 .. 청춘경영/청춘 2011.05.03
한국 청소년, '더불어 사는 능력' 세계 꼴찌... "한국 청소년 '더불어 사는' 능력 세계 꼴찌" 청소년硏 국가간 지수 분석 발표…"지식 위주 교육 결과" 정부ㆍ학교 신뢰도도 국제 평균 이하... 한국 청소년은 다양한 이웃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이 세계 최하위 수준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2009년 국제.. 청춘경영/청춘 2011.03.27
인사담당자 "지원자 SNS 확인한다" 기업 인사 담당자 5명 중 1명 꼴로 블로그나 미니홈피, 트위터 등 구직자들이 쓰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접속해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일 취업ㆍ인사포털 <인크루트>가 국내 기업 인사담당자 5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21.5%가 입사 지원서에 SNS 주소를 기재.. 청춘경영/청춘 2010.06.04
대학생 61.5% "취업 사교육 받는다" 대학생 10명 중 6명 이상이 취업을 위해 사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4년제 대학 2∼4학년생 812명을 대상으로 최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1.5%가 `취업을 위해 사교육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사교육을 받는 분야(복수응답)로는 `영어 말하기(49.7%)', `전.. 청춘경영/청춘 2010.06.04
한국 아이들의 행복지수, OECD 국가 중 최하위 한국의 아이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만족도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에서 가장 낮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 조사는 한국 방정환재단이 전국 초등학교 4학년 학생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모두 5천 4백 명을 대상으로 ‘행복지수’에 대해 설문조사 한 결과를 유니세프가 정한 OECD 22개 국가의.. 청춘경영/청춘 2010.05.07
학교는 '붕어빵 공장'이다 학교는 붕어빵 공장이다. 학교에 들어간다는 것은 동조를 구하는 사고와 행위를 드러내 놓고 주입시키려는 제도에 입문하는 일이다. 학교에서는 하는 일마다 허락을 구해야 하며 스스로의 판단에 의존해서 할 수 있는 게 거의 없다. 화장실에 가도 되느냐고 선생님께 어쭤본다. 정.. 청춘경영/청춘 2010.05.07
오늘 걷지 않으면 내일은 뛰어야 한다 세 명을 악마가 인간을 상대로 내기를 했다. 각자 인간을 선택한 후 자신들이 선택한 인간에게 한 가지씩 과제를 주어 인간을 이기는 내기였다. 첫 번째 악마는 인간에게 실패를 주었다. 그러나 인간은 실패를 주면 줄수록 그것을 딛고 일어나 더 큰 실패를 계속 이겨내는 것이었다. 결국 첫 번째 악마.. 청춘경영/청춘 2010.03.30
대학생들, "직업선택시 적성과 흥미가 가장 중요" '사회적 안정'이나 '보수'보다 중요시 여겨 '눈길' ... 신세대 튀는 개성 반영 부경대, 재학생 2,717명 상대 설문조사 결과 발표 요즘 대학생들은 직업을 선택할 때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이 '사회적 안정'이나 '보수'보다 자신이 흥미를 느낄 수 있어야 한.. 청춘경영/청춘 2010.03.30